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팁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기간 정리

by cozylifetoday 2023. 3. 24.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원씩 적금을 하라 경우 만기 후 최대 5,0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적금 제도이다. 2023년 6월 출시 예정이며 지난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해 봤을 때 월 최대 적금 가능 금액이 50만원에서 70만원으로 늘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기간을 미리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이 좋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월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5년 만기의 적금 상품으로 만 19세 ~ 34세에 해당하는 청년만 가입이 가능하다. 이후 발표되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받을 예정이며 심사 후 결정된다. 가입 이후에는 1년 단위로 청년도약계좌 유지를 위한 심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신청기간은 2023년 6월부터 신청가능하다.

 

 

심사할 때 가구원 기준은 가입할 때 기준으로 확정되며 개인 및 가구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인 2022년의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전년도인 2021년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부

 

작년에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사람들은 2023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없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고 그 목적이 유사하여 불가능 하다는게 공식입장이다.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거의 다가왔거나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한 사람들이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다.

 

예외로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혹은 저소득층 및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지원 상품과는 중복되지 않는다.

 

청년적금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180%이하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가입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조건이 있는데 직전년도 3개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적이 있다면 가입할 수 없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개인소득 기준 총급여 6,000만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가 적용된다. 만약 총급여가 6,000~7,500만원이라면 정부기여금이 나오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비과세만 적용된다. 정부에서 주는 기여금 지급은 개인소득별로 지급한도를 두었는데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와 같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청년도약계좌 만기 및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청년적금은 가입후 3년간은 고정금리이며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아직은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후 확정되면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종 만기일인 5년 후 실제 수령하는 금액은 본인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경과이자를 합산한 금액이 만기시 지급되며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된다.

 

그리고 이번 청년도약계좌는 중간에 적금을 해지할 경우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된다면 납입금 이외에도 정부 기여금이 따로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될 수 있다. 해당하는 특별중도해지 사유는 다음과 같다.

 

  • 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구입

 

 

댓글